상수 만들기
const(constant) 상수의 줄임말이다.
변수는 변하는 수이다.
상수는 변하지 않는 수이다.
const는 엄밀히 상수는 아니다. const를 변수라고 해도 틀린말은 아니다. const는 객체의 내부 값에는 적용되지 않는다.
상수를 왜 사용할까? 코딩을 하다 보면 실수로 값을 수정하는 일이 생긴다. 그걸 막기위해 상수를 사용한다.
// 크롬 개발자도구 콘솔 환경
const value = '상수입니다.';
// undefined
// ▲ const도 식이 아니라 선언문이기 때문에 콘솔에 undefined가 출력된다.
value = '바꿀 수 없습니다.';
// Uncaught TypeError: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.
// ▲ 다른 값을 대입하면 에러가 발생한다. 하지만 나중에 배울 객체에서는 값을 바꿀 수 있다.
const value = '다시 선언할 수 없습니다.';
// Uncaught SyntaxError: Identifier 'value' has already been declared
// ▲ let과 마찬가지로 재선언이 불가능하다.
const는 초기화도 반드시 같이 해줘야함
const value;
// Uncaught SyntaxError: Missing initializer in const delaration
// ▲ 한번 값을 대입하면 다른 값을 대입할 수 없다는 특성 때문에 상수 선언 시 초기화(
// 선언과 동시에 값을 대입하는 것)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다.
var 알아보기
var는 variable의 줄임말
다시 선언 가능 👎
var variable = '다시 선언 가능';
var variable = '다시 선언2'
이러한 특징 때문에 실수로 변수를 다시 선언하는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. 또한 다음과 같이 예약어나 다름없는 이름을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.
var undefined = ‘defined’;
var Infinity = 0;
var let = ‘const’;
var는 나사가 빠진 변수느낌이다. 과거에 버그같은것도 많이 일으키고 해서 요즘에는 잘 안쓰이는 추세이다. let과 const로 완벽하게 대체가 된다. 그래서 let, const를 쓰는게 좋다. 👍
1분 퀴즈
a와 b라는 변수에 어떠한 값이 들어 있습니다. 두 변수의 값을 서로 바꿔보세요.
let a = 'aaa';
let b = 'bbb';
let c = a;
a= b;
b = c;
'강의 정리 > 제로초 자바스크립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🔖 2-14. else, else if, switch (0) | 2023.03.04 |
---|---|
🔖 2-13. 조건문(if) (0) | 2023.03.04 |
🔖 2-11. 변수 수정하기 (0) | 2023.03.04 |
🔖 2-10. 변수 이름 짓기 (0) | 2023.03.04 |
🔖 2-9. 변수 선언하기(let) (0) | 2023.03.04 |